냥냥이

고양이 감기, 집에서 케어 가능할까? 증상과 대처법 완벽 정리

Milo. 2025. 3. 17. 21:00

기침중인 고양이

 


"콜록콜록" "훌쩍훌쩍" 사람처럼 기침과 콧물 증상을 보이는 고양이, 혹시 감기에 걸린 걸까요?

 

고양이 감기는 사람 감기와는 다르지만,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고양이 감기 증상을 자세히 알아보고,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과 주의 사항, 그리고 동물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까지 꼼꼼하게 짚어드립니다.

 


아마존 베스트셀러 캣토이

아마존 베스트 캣토이

 

This post contains affiliate links and I will be compensated if you make a purchase after clicking through my links. As an Amazon Associate I earn from qualifying purchases.

 


 

1. 고양이 감기, 정체가 뭐야?

고양이 감기는 고양이 상부 호흡기 감염 (URI, Upper Respiratory Infection)을 일컫는 말로,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.

  • 주요 원인:
    •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(FHV-1): 고양이 감기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, 재채기, 콧물, 결막염, 눈곱 등을 유발합니다. 한 번 감염되면 평생 바이러스를 보균하게 되며, 스트레스를 받거나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  •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(FCV): 구내염, 혀 궤양, 콧물, 재채기, 발열 등을 유발합니다.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, 감염된 고양이의 침, 눈물, 콧물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.
    • 고양이 클라미디아 (Chlamydia felis): 결막염, 콧물 등을 유발하는 세균입니다.
    • 고양이 보르데텔라 (Bordetella bronchiseptica): 기관지염, 폐렴 등을 유발하는 세균입니다.
  • 전염 경로:
    • 직접 접촉: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 (핥기, 싸움, 그루밍 등)을 통해 전염됩니다.
    • 간접 접촉: 감염된 고양이의 침, 눈물, 콧물 등으로 오염된 밥그릇, 물그릇, 장난감, 침구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공기 중 전파: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퍼져 전염될 수 있습니다.

2. 고양이 감기 증상, 감기가 맞나?

고양이 감기는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, 증상의 정도는 고양이의 건강 상태, 면역력, 감염된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.

  • 호흡기 증상:
    • 재채기: 잦은 재채기, 심한 경우 코피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콧물: 맑은 콧물, 노란 콧물, 녹색 콧물 등 다양한 형태의 콧물을 보입니다.
    • 코막힘: 코가 막혀 숨쉬기 힘들어하고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도 있습니다.
    • 기침: 마른 기침, 젖은 기침 등 다양한 형태의 기침을 보입니다.
  • :
    • 결막염: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눈곱이 많이 낍니다.
    • 눈물: 눈물을 흘리거나 눈 주변이 젖어 있습니다.
  • 구강:
    • 구내염: 입안에 염증이 생겨 침을 흘리고, 음식을 먹는 것을 힘들어합니다.
    • 혀 궤양: 혀에 궤양이 생겨 통증을 느끼고 식욕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전신 증상:
    • 발열: 체온이 상승합니다.
    • 식욕 부진: 냄새를 맡지 못하거나 입안이 아파서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합니다.
    • 무기력: 기운이 없고 활동량이 감소합니다.
    • 탈수: 식욕 부진과 발열로 인해 탈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.

3. 고양이 감기, 집에서 케어 가능할까?

고양이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 따라서 고양이의 면역력을 높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• 집에서 할 수 있는 일:
    • 안정: 고양이가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합니다.
    • 수분 섭취: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신선한 물을 충분히 제공하고, 습식 사료를 급여하거나 건식 사료에 물을 섞어 촉촉하게 만들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
    • 영양 공급: 고양이가 영양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맛있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제공합니다.
    • 체온 조절: 고양이가 너무 춥거나 덥지 않도록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합니다.
    • 위생: 고양이가 사용하는 밥그릇, 물그릇, 침구 등을 자주 세척하고 소독하여 감염 확산을 방지합니다.
    • 증상 완화:
      • 코막힘: 따뜻한 물수건으로 코 주변을 부드럽게 닦아줍니다.
      • 눈곱: 따뜻한 물이나 식염수로 적신 솜으로 눈곱을 부드럽게 닦아줍니다.
      • 구내염: 따뜻한 물이나 꿀물을 섞어 줍니다.
  • 주의 사항:
    • 사람 약 사용 금지: 사람이 사용하는 감기약은 고양이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절대로 사람 약을 고양이에게 먹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    • 자가 치료: 고양이 감기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, 자가 치료하지 말고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다른 고양이와 격리: 감염된 고양이는 다른 고양이와 격리하여 감염 확산을 예방합니다.

4. 동물병원, 언제 가야 할까요?
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  • 호흡 곤란: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
  • 고열: 39.5도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
  • 식욕 부진: 24시간 이상 음식을 먹지 않는 경우
  • 탈수: 탈수 증상을 보이는 경우
  • 눈곱, 콧물: 눈곱이나 콧물의 양이 많거나 색이 진한 경우 (노란색, 녹색)
  • 구토, 설사: 구토나 설사를 하는 경우
  • 무기력: 움직이지 않고 계속 누워만 있는 경우
  • 증상 악화: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악화되는 경우
  • 어린 고양이, 노령묘: 어린 고양이나 노령묘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증상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.

5. 고양이 감기, 예방이 최선입니다

고양이 감기는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.

  • 백신 접종: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, 칼리시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위생: 고양이가 생활하는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고, 밥그릇, 물그릇, 화장실 등을 정기적으로 소독합니다.
  • 면역력 강화: 고양이에게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하고, 스트레스를 줄여 면역력을 강화합니다.
  • 외부 고양이 접촉 제한: 외부 고양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감염 위험을 줄입니다.

고양이 감기는 흔한 질병이지만,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통해 고양이의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. 고양이의 건강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고, 이상 증상을 보이면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